본문 바로가기
생활 정보

국어 맞춤법: '이'와 '히'의 차이 완벽 정리

by uhacl 2025. 2. 13.

국어 맞춤법
국어 맞춤법

'이'와 '히', 왜 헷갈릴까요?

우리말에서 '이'와 '히'는 둘 다 부사(어떤 동작을 꾸며 주는 말)를 만들 때 사용됩니다. 하지만 어떤 단어는 '이'를 쓰고, 어떤 단어는 '히'를 써야 해서 자주 헷갈립니다.

예를 들어, ‘깨끗이’와 ‘깊숙이’는 '이'를 쓰고, ‘조용히’와 ‘솔직히’는 '히'를 씁니다. 왜 그런 걸까요? 이제 쉽게 구별하는 방법을 알려줄게요!

'이'와 '히'를 구별하는 간단한 방법

단어의 원래 형용사가 어떻게 끝나는지를 보면 쉽게 구별할 수 있어요.

  • 형용사 어간(기본 형태)이 '하'로 끝나면 → '히'를 붙인다.
  • 그 외에는 보통 '이'를 붙인다.

예문으로 쉽게 이해하기

아래 표를 보면서 '이'와 '히'를 어떻게 구별하는지 익혀 보세요.

형용사 부사 설명
깨끗하다 깨끗이 (O) '깨끗'은 '하'로 끝나지 않으므로 '이' 사용
깊숙하다 깊숙이 (O) '깊숙'은 '하'로 끝나지 않으므로 '이' 사용
빠르다 빠르게 (O) '빠르'는 '하'가 없으므로 '이'도 '히'도 아님
조용하다 조용히 (O) '조용하다'는 '하'로 끝나므로 '히' 사용
솔직하다 솔직히 (O) '솔직하다'는 '하'로 끝나므로 '히' 사용
정확하다 정확히 (O) '정확하다'는 '하'로 끝나므로 '히' 사용

'이'와 '히'를 헷갈리지 않는 꿀팁

더 쉽게 외울 수 있는 방법이 있어요!

  • 단어가 '하다'로 끝나면 → '히'를 붙여요.
  • '하다'가 없으면 → 보통 '이'를 붙여요.

예를 들어, '정확하다' → '정확히', '깨끗하다' → '깨끗이'처럼 말이에요!

자주 헷갈리는 예외 단어

일반적인 규칙에서 벗어나는 예외적인 단어도 있어요. 이런 단어들은 외워두는 것이 좋아요!

  • 깊숙하다 → 깊숙이 (O) (예외지만 '이'를 씀)
  • 고요하다 → 고요히 (O) (규칙대로 '히'를 씀)
  • 급하다 → 급히 (O) ('하'가 있지만 '히'를 씀)

정리하기

이제 '이'와 '히'를 구별하는 방법을 확실히 알게 되었나요? 다시 한번 정리해 볼게요!

  1. 형용사 어간이 ‘하’로 끝나면 ‘히’를 붙인다.
  2. 형용사 어간이 ‘하’가 아니면 보통 ‘이’를 붙인다.
  3. 예외적인 단어는 따로 외운다.

이제 '이'와 '히'를 헷갈리지 않고 바르게 사용할 수 있을 거예요!

© 2025 국어 맞춤법 블로그 | 모든 권리 보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