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와 '히', 왜 헷갈릴까요?
우리말에서 '이'와 '히'는 둘 다 부사(어떤 동작을 꾸며 주는 말)를 만들 때 사용됩니다. 하지만 어떤 단어는 '이'를 쓰고, 어떤 단어는 '히'를 써야 해서 자주 헷갈립니다.
예를 들어, ‘깨끗이’와 ‘깊숙이’는 '이'를 쓰고, ‘조용히’와 ‘솔직히’는 '히'를 씁니다. 왜 그런 걸까요? 이제 쉽게 구별하는 방법을 알려줄게요!
'이'와 '히'를 구별하는 간단한 방법
단어의 원래 형용사가 어떻게 끝나는지를 보면 쉽게 구별할 수 있어요.
- 형용사 어간(기본 형태)이 '하'로 끝나면 → '히'를 붙인다.
- 그 외에는 보통 '이'를 붙인다.
예문으로 쉽게 이해하기
아래 표를 보면서 '이'와 '히'를 어떻게 구별하는지 익혀 보세요.
형용사 | 부사 | 설명 |
---|---|---|
깨끗하다 | 깨끗이 (O) | '깨끗'은 '하'로 끝나지 않으므로 '이' 사용 |
깊숙하다 | 깊숙이 (O) | '깊숙'은 '하'로 끝나지 않으므로 '이' 사용 |
빠르다 | 빠르게 (O) | '빠르'는 '하'가 없으므로 '이'도 '히'도 아님 |
조용하다 | 조용히 (O) | '조용하다'는 '하'로 끝나므로 '히' 사용 |
솔직하다 | 솔직히 (O) | '솔직하다'는 '하'로 끝나므로 '히' 사용 |
정확하다 | 정확히 (O) | '정확하다'는 '하'로 끝나므로 '히' 사용 |
'이'와 '히'를 헷갈리지 않는 꿀팁
더 쉽게 외울 수 있는 방법이 있어요!
- 단어가 '하다'로 끝나면 → '히'를 붙여요.
- '하다'가 없으면 → 보통 '이'를 붙여요.
예를 들어, '정확하다' → '정확히', '깨끗하다' → '깨끗이'처럼 말이에요!
자주 헷갈리는 예외 단어
일반적인 규칙에서 벗어나는 예외적인 단어도 있어요. 이런 단어들은 외워두는 것이 좋아요!
- 깊숙하다 → 깊숙이 (O) (예외지만 '이'를 씀)
- 고요하다 → 고요히 (O) (규칙대로 '히'를 씀)
- 급하다 → 급히 (O) ('하'가 있지만 '히'를 씀)
정리하기
이제 '이'와 '히'를 구별하는 방법을 확실히 알게 되었나요? 다시 한번 정리해 볼게요!
- 형용사 어간이 ‘하’로 끝나면 ‘히’를 붙인다.
- 형용사 어간이 ‘하’가 아니면 보통 ‘이’를 붙인다.
- 예외적인 단어는 따로 외운다.
이제 '이'와 '히'를 헷갈리지 않고 바르게 사용할 수 있을 거예요!
'생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초등학교 입학 준비: 학습, 생활, 친구 관계 및 필수 준비물 리스트 (0) | 2025.02.13 |
---|---|
문해력의 중요성: 왜 주목받고 있으며 우리 아이는 어떻게 준비해야 할까? (0) | 2025.02.13 |
🚄 GTX 초등학생 교통카드 발급 방법 및 할인 혜택 안내 (0) | 2025.02.12 |
❄️ 하얼빈 여행 가이드 - 꼭 가봐야 할 명소 & 먹거리 (0) | 2025.02.11 |
🏅 2025 하얼빈 동계 아시안 게임 한국팀 성적 및 메달 순위(Feat.박지훈,김민서) (0) | 2025.02.11 |